본문 바로가기

Life/Book102

그의 운명에 대한 아주 개인적인 생각(저자 유시민, 무도한 시대, 정치 비평, 민주주의, 도자기 박물관의 코끼리) 혹시 여러분들 중 블로그나 SNS를 운영하시면서글이나 사진, 영상을 업로드 하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일상에 대한 기록의 글,정보공유 목적의 글,수익화를 위한 광고 목적의 글, 타인과 소통하기 위한 글 등저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으실 겁니다. 저는 블로그를 운영하는 이유 중 하나가 글쓰기의 재주가 있다거나유명한 작가처럼 타고나고 특출한 필력이 있는 것도 아니지만지금 현재를 살아가면서내가 보고 듣고 경험한 것들에 대해서내가 느낀 감정들과 가지게 된 생각들을잘 정리해서 그 당시의 내 삶의 발자취를 기록하고기록한 것들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함입니다.이 블로그에 올려진글 하나하나가 세상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아주 중요하고 큰 의미를 가지고 있는 글도 아니고어쩌면 볼품없고 가치 없는 글이 될지 모르지만글을 .. 2025. 4. 22.
교양이를 부탁해(교양, 경제전쟁패권 편, 스브스프리미엄, 시사 이슈, 읽을수록 똑똑해지는) 블로그에 독서 리뷰를 작성하기 위해열심히 독서에 불을 붙이고 있는 시기최근에 읽어볼만한 책을 검색하다가 책 제목이 눈에 확~~ 들어오는 책이 있었습니다. '교양이를 부탁해'라는 책으로평소에 교양이란 말을 많이 들어봤지만사실 교양이란 말 자체에 중요성을 두고 살지 않다보니큰 관심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하지만 시간이 지난 지금제목을 보자마자 이 책을 선택하게 됐다는 건이제는 나도 조금은 교양 시사 지식 등에관심이 생기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교양이란 단어의 뜻이 궁금해서포털사이트에서 교양이란 단어를 검색해보았습니다. '교양'이란 1. 가르치어 기름.2. 학문, 지식, 사회생활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품위 또는 문화에 대한 폭넓은 지식이라는 뜻으로 교양이란 나를 둘러싼 환경을 분석하고 탐구하는 과정.. 2025. 4. 19.
수학 머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스탠퍼드대 교육 석학, 조 볼러 지음, 수학 머리, 수학 교육, 뇌의 학습 원리) 여러분들은 수학을 좋아하시나요?? 저는 수학을 좋아하긴 했습니다.물론 고등학교에 올라가기 전까지는요.중학수학까지는 배운 내용을 이해하기에그렇게 어려운 부분이 많지 않았던 걸로 기억하는데고등수학으로 넘어가는 순간 수학의 깊이를 뼈저리게 느끼게 되고그때부터 수학이 어려워지기 시작했습니다.그러고는 수학을 좋아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학창시절을 떠올려보면공부하는 시간에 비해유난히 수학을 잘하는 친구들이 있었습니다.그 친구들을 볼 때마다 부러움을 느낀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습니다.물론 보이지 않는 곳에서 아주 열심히 수학 공부를 했겠지만요.어찌됐든 여기서 궁금증이 생깁니다.수학 머리는 정말 타고 나는 걸까요 아니면 만들어지는 걸까요?? 시험에 대한 압박이 사라진 현재수학이라는 학문을 좋아하는 1인으로서 1달 공부로.. 2025. 4. 15.
AI, 질문이 직업이 되는 세상(최서연 전상훈 지음, AI시대, 질문이 핵심이다, AI가 바꾸는 미래) 최근 들어서 AI(인공지능)란 용어를 여기저기서 많이 듣습니다. 뉴스를 포함한 매스컴을 비롯해서근처에 서점이나 도서관에 가면AI와 관련된 주제로 발간된 책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대화 전문 인공지능 챗봇인 챗GPT를 비롯하여산업 분야 여러 곳에서 이미 인공지능 기술이 상용화 되고 있습니다. 미국 골드만삭스에서 낸 보고서에는 '3억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고 나와있고한국은행에서 낸 보고서에는 고소득 전문직을 포함한 무려 341만 개의 일자리가인공지능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이 크다고 나와 있습니다.이 보고서 내용대로 진행된다면 지금의 나의 일자리도 위협받는 일이 현실화될 것입니다. AI 소사이어티 AI 소사이어티목차 들어가며 Part 1 우리는 이미 AI 소사이어티에 살고 있다 내가 알던 세상이 사라졌다 A.. 2025. 4. 1.
LIST